대한민국 도시별 인구수 순위, 도시 면적 순위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대한민국은 수도권 집중 현상과 지방 도시의 인구 감소가 동시에 진행되고 있는 나라입니다. 도시별 인구수와 면적은 지역의 성장 가능성과 행정 효율성, 생활 인프라 구축에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대한민국 주요 도시의 인구수 순위와 면적 순위를 함께 살펴보며, 각 도시의 특징과 의미를 자세히 분석해보겠습니다.
대한민국 도시별 인구수 순위 (2025년 기준)
아래는 2025년 기준으로 인구수가 많은 도시 순위입니다. 광역시, 특례시, 일반시를 포함한 통계이며, 통계청 및 지방자치단체 자료를 기반으로 정리했습니다.
순위 | 도시명 | 인구수 (명) | 비고 |
---|---|---|---|
1 | 서울특별시 | 약 9,360,000 | 수도권 중심, 인구 감소 추세 |
2 | 부산광역시 | 약 3,278,000 | 영남권 중심 도시 |
3 | 인천광역시 | 약 3,013,000 | 공항·항만 중심 도시 |
4 | 대구광역시 | 약 2,366,000 | 내륙 산업 중심지 |
5 | 경기도 수원시 | 약 1,196,000 | 경기도청 소재지 |
6 | 경기도 용인시 | 약 1,083,000 |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중 |
7 | 경기도 고양시 | 약 1,071,000 | 수도권 북부 거점 도시 |
8 | 경남 창원시 | 약 1,003,000 | 계획도시, 경남도청 소재지 |
9 | 경기도 화성시 | 약 956,000 | 동탄 신도시 개발 |
10 | 경기도 성남시 | 약 916,000 | 판교테크노밸리 위치 |
이 외에도 청주시, 부천시, 남양주시, 천안시, 전주시 등이 인구 60만 명 이상을 기록하며 지역 거점 도시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한국지리] 2023년 한국의 도시별 인구 순위 : 네이버 블로그
우리나라 도시 면적 순위
도시의 면적은 행정구역의 크기뿐 아니라 개발 가능성과 인프라 확장성에 영향을 줍니다. 아래는 시 단위 기준으로 면적이 넓은 도시 순위입니다.
순위 | 도시명 | 면적 (㎢) | 비고 |
---|---|---|---|
1 | 안동시 | 약 1,518 | 경북 북부 중심 도시 |
2 | 경주시 | 약 1,320 | 역사문화도시, 유네스코 유산 다수 |
3 | 상주시 | 약 1,254 | 농업 중심 도시 |
4 | 삼척시 | 약 1,186 | 강원 동해안 도시 |
5 | 포항시 | 약 1,125 | 포스코 본사 위치 |
6 | 인천광역시 | 약 1,062 | 광역시 중 면적 최대 |
7 | 양평군 | 약 878 | 수도권 자연환경 중심지 |
8 | 가평군 | 약 844 | 수도권 관광지 |
9 | 포천시 | 약 827 | 군사시설 밀집 지역 |
10 | 화성시 | 약 698 | 수도권 남부 개발 중심지 |
면적이 넓은 도시일수록 자연환경 보존 지역이 많거나 농업·산림 중심의 지역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인구와 면적의 상관관계
흥미롭게도 인구가 많은 도시가 반드시 면적이 넓은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서울특별시는 인구는 가장 많지만 면적은 약 605㎢로 중간 수준입니다. 반면 안동시는 인구는 15만 명대지만 면적은 전국 최대입니다. 이는 도시의 개발 밀도와 인프라 집중도, 행정구역 설정 방식에 따라 달라지는 결과입니다.
대한민국 도시별 인구수와 면적 순위는 지역의 발전 방향과 정책 수립에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수도권은 인구 밀집도가 높고 면적은 상대적으로 작지만, 지방은 넓은 면적을 바탕으로 다양한 개발 가능성을 품고 있습니다. 이 글을 통해 각 도시의 특성과 위치를 이해하고, 지역 균형 발전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기를 바랍니다.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